▲ 연천봉 석각(連天峰 石刻) http://blog.daum.net/onidiras/15875174
계룡산은 이 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징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1393년(태조2년) 신도건설 공사 이후부터 풍수설과 어우러진 계룡산은 각종 예언과 연결되는 중요한 장소가 되었다. 연천봉 석각은 계룡산이 갖는 도참적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자원이다.
연천봉 석각의 의미 : 방백마각(方白馬角) 구혹화생(口或禾生) 방(方)은 사(四)방이요 글자도 4획이라 4를 뜻한다. 마(馬)는 오(午)인데 오라는 글자는 80(八十)을 의미한다. 각(角)은 뿔이다. 모든 짐승이 두 개의 뿔이 있으므로 2가된다. 이를 모두 더하면 482란 숫자가 된다. 구(口)와 혹(惑)은 국(國)자가 되고, 화(禾)와 생(生)을 합치면 이(移)의 옛글자가 된다. 전체를 다시 조합하면 ‘四百八十二年 國移’란 구절이 되어서 조선은 개국 482년 만에 망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왔다.
▲ 석각 http://blog.daum.net/onidiras/15877406